기아를 끝내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기후위기, 재난, 분쟁 등 우리에게는 피부로 와닿지 않을 수 있지만 지구 먼 곳에서 지금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올해는 안타깝게도 기후위기와 함께 ‘분쟁’ 소식을 자주 듣게 되었습니다. 분쟁으로 기아가 더욱 악화된 수단과 니제르의 상황과 컨선월드와이드가 대응한 현장을 소개합니다.
기아를 만드는 씨앗, 분쟁
수단은 1955년부터 내전으로 오랜 기간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2021년 군사 쿠데타 이후 군부 세력에 의해 장악된 뒤, 2022년에는 군부 세력에 대한 불신때문에 민간 통치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Sudanese Armed Forces (SAF) 수단군과 Rapid Support Forces (RSF)가 갈등을 빚었고 2023년 최근 다시 폭력사태가 일어나 약 51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내전으로 인해 국제 인도주의 단체들의 물품 약탈로 지원활동이 중단되는 사태도 일어났습니다.
니제르는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군사정권과 민주주의 투쟁 사이에 사회적, 정치적 혼란을 겪어왔으며, 가뭄까지 겹치면서 950만 명에게 극심한 빈곤을 남겼습니다. 심각한 기아를 앓고 있는 니제르를 위해 국제 사회에 인도주의 활동이 지속되어 왔지만, 2023년 7월 다시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국경이 폐쇄되면서 40만 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고 영양실조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니제르는 갈등을 빚는 주변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난민들로 인해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습니다.
분쟁도 막을 수 없는 컨선월드와이드의 활동
수단은 인구의 46.5%가 기아의 삶을 살고 있고 903만 명 중 180만 명이 국내 실향민입니다. 특히 올해 4월에는 군사 갈등이 전국에 확산되어 2만 명 이상이 나라를 탈출했고, 8월에는 약 7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추가로 발생했습니다. 컨선월드와이드는 현재 약 47,000명이 생활하는 차드 국경지역에 위치한 난민캠프에 식량과 대피소 키트, 기타 생필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 수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드데무르 캠프(Addemour Camp)와 자바웃 캠프(Zabout Camp)에서 필수 영양소를 제공하는 이동식 건강 영양 클리닉을 운영하고 예방접종 등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니제르는 분쟁으로 인도주의 위기상황이 지속되었습니다. 식료품 및 연료비 상승과 분쟁지역의 치안 문제로 물품 배분과 직원들의 이동이 2주간 중단되는 위기가 있었지만 컨선월드와이드는 국제 인도주의단체들과 함께 국제사회를 향한 목소리를 높여 다시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가장 취약한 약 1,700가구를 대상으로 식량을 지원하였고, 직간접적으로 300만 명에게 도움이 닿았습니다. (2022년 기준) 지난 4월에는 보건소에 어린아이들의 영양실조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할 수 있는 필수 의료 물품들을 지원하고 8월에는 10개의 영양센터에 분만을 위한 멸균 장비, 구급상자, 의약품, 비타민, 영양실조 아동용 치료용 장비, 급성 출혈 검사 키트 등을 전달했습니다. 컨선월드와이드는 앞으로 약 28,000명의 지역주민 및 피난민을 대상으로 영양 지원 및 생계 회복 지원을 위한 활동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기아를 끝내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기후위기, 재난, 분쟁 등 우리에게는 피부로 와닿지 않을 수 있지만 지구 먼 곳에서 지금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올해는 안타깝게도 기후위기와 함께 ‘분쟁’ 소식을 자주 듣게 되었습니다. 분쟁으로 기아가 더욱 악화된 수단과 니제르의 상황과 컨선월드와이드가 대응한 현장을 소개합니다.
기아를 만드는 씨앗, 분쟁
수단은 1955년부터 내전으로 오랜 기간 고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2021년 군사 쿠데타 이후 군부 세력에 의해 장악된 뒤, 2022년에는 군부 세력에 대한 불신때문에 민간 통치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Sudanese Armed Forces (SAF) 수단군과 Rapid Support Forces (RSF)가 갈등을 빚었고 2023년 최근 다시 폭력사태가 일어나 약 51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내전으로 인해 국제 인도주의 단체들의 물품 약탈로 지원활동이 중단되는 사태도 일어났습니다.
니제르는 1960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군사정권과 민주주의 투쟁 사이에 사회적, 정치적 혼란을 겪어왔으며, 가뭄까지 겹치면서 950만 명에게 극심한 빈곤을 남겼습니다. 심각한 기아를 앓고 있는 니제르를 위해 국제 사회에 인도주의 활동이 지속되어 왔지만, 2023년 7월 다시 일어난 군사 쿠데타로 국경이 폐쇄되면서 40만 명의 국내 실향민이 발생했고 영양실조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니제르는 갈등을 빚는 주변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난민들로 인해 상황은 더 악화되고 있습니다.
분쟁도 막을 수 없는 컨선월드와이드의 활동
수단은 인구의 46.5%가 기아의 삶을 살고 있고 903만 명 중 180만 명이 국내 실향민입니다. 특히 올해 4월에는 군사 갈등이 전국에 확산되어 2만 명 이상이 나라를 탈출했고, 8월에는 약 7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추가로 발생했습니다. 컨선월드와이드는 현재 약 47,000명이 생활하는 차드 국경지역에 위치한 난민캠프에 식량과 대피소 키트, 기타 생필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 수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드데무르 캠프(Addemour Camp)와 자바웃 캠프(Zabout Camp)에서 필수 영양소를 제공하는 이동식 건강 영양 클리닉을 운영하고 예방접종 등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니제르는 분쟁으로 인도주의 위기상황이 지속되었습니다. 식료품 및 연료비 상승과 분쟁지역의 치안 문제로 물품 배분과 직원들의 이동이 2주간 중단되는 위기가 있었지만 컨선월드와이드는 국제 인도주의단체들과 함께 국제사회를 향한 목소리를 높여 다시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가장 취약한 약 1,700가구를 대상으로 식량을 지원하였고, 직간접적으로 300만 명에게 도움이 닿았습니다. (2022년 기준) 지난 4월에는 보건소에 어린아이들의 영양실조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할 수 있는 필수 의료 물품들을 지원하고 8월에는 10개의 영양센터에 분만을 위한 멸균 장비, 구급상자, 의약품, 비타민, 영양실조 아동용 치료용 장비, 급성 출혈 검사 키트 등을 전달했습니다. 컨선월드와이드는 앞으로 약 28,000명의 지역주민 및 피난민을 대상으로 영양 지원 및 생계 회복 지원을 위한 활동을 이어갈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