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0. 16.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기아 수준 ‘극히 위험’- 국제식량정책연구소, 2017년 세계기아지수 발표
- 기아 ‘위험’ 국가는 총 8개국, 대부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위치
- 북한, 전년 대비 기아 수준 34% 악화
(미국 워싱턴DC) 12일, 국제식량정책연구소는 전세계 6개 수도에서 ‘2017년 세계기아지수’ 보고서를 발표했다. 세계기아지수는 기아 지표를 통해 가장 관심이 필요한 국가를 알리고 기아종식을 위한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국제식량정책연구소, 컨선월드와이드, 세계기아원조가 2006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세계기아지수는 전체 인구의 영양결핍 비율로 3분의 1을 구성하고,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 및 영양상태로 나머지를 구성하고 있어서 영양의 질을 살펴볼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다. 지수 0점은 기아가 없는 이상적인 상태이고 100점은 최악의 기아 상황을 뜻한다. 지수가 35점 이상이면 ‘위험(alarming)’ 단계에 해당된다.
2017년 세계기아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아 수준은 21.8점으로 2000년 29.9점보다 27퍼센트 감소했다. 2000년에 대비해 14개국은 세계기아지수가 50퍼센트 이상 감소했다. 72개국은 25-49.9퍼센트 감소했고, 27개국은 25퍼센트 미만으로 떨어졌다.
조사대상 총 119개 국가 중에서 최하위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50.9)으로 ‘극히 위험’한 기아 수준에 해당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외에 ‘위험’ 단계에 해당하는 국가는 차드(43.5), 시에라리온(38.5), 마다가스카르(38.3), 잠비아(38.2), 예멘(36.1), 수단(35.5), 라이베리아(35.3) 등 총 8개 국가이다. 이들 대다수는 수십 년간 정치 위기나 무력 충돌을 겪었으며 예멘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남아시아(30.9)의 기아 수준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29.4)이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동티모르(34.3), 아프가니스탄(33.3), 파키스탄(32.6), 인도(31.4)가 100위권 아래에 해당되며 위험 단계 직전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은 전년 대비 21점에서 28.2점으로 34퍼센트 악화되었다. 북한 아동의 영양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전체 인구 중에서 영양결핍 인구의 비율이 10년간 별다른 진전을 보이고 있지 않다. 북한의 기아 순위는 93위다.
새롭게 주목할 점은 국가내에서 발육부진 아동 비율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가장 불평등이 극심한 나이지리아는 최대와 최저 비율의 격차가 50퍼센트를 넘어섰다. 동북부에 거주하는 450만 명은 보코 하람의 폭력으로 기근을 겪거나 기근의 위험에 처한 반면, 그 외 지역은 비교적 식량 확보가 용이했다. 다음으로 46.5퍼센트 격차를 기록한 아프가니스탄의 경우에는 도로 접근성과 여성 문자해독률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발육부진은 나이 대비 신장이 작은 것으로 만성영양실조의 지표이다.
한국에서는 오는 11월 14일 컨선월드와이드(한국대표 이준모) 주최로 세계기아리포트를 개최해 세계기아지수 현황을 발표하고 관련한 한국 주체들의 혁신적인 접근들을 심도있게 다룰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세계기아지수 사이트(http://www.globalhungerindex.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년째 기아지수가 개선되지 않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아동들은 영양실조가 일상으로 자리 잡았다. Chris de Bode, 컨선월드와이드 사진 제공.
관련 기사
∙ 北 기아지수, 119개국 중 27위···'심각단계' (뉴시스, 2017.10.12)
∙ “북한 기아, 전 세계 27번째로 심각…25년 전 비해 개선 안 돼” (VOA, 2017.10.13)
∙ 美연구소 "北 기아상황, 전 세계에서 27번째로 심각" (연합뉴스, 2017.10.13)
∙“북, 아시아서 인구대비 영양부족 최악” (RFA, 2017.10.13)
∙ Why World Hunger Isn't Going Away As Fast As We'd Hoped (NPR, 2017.10.17)
RELATED CONTENTS
2019 세계기아리포트: 기후변화와 기아
2019. 11. 22.
2018 세계기아리포트, 분쟁-이주-기아 연결고리 조명
2018. 11. 22.
2017 세계기아리포트: 기아 종식을 위한 새로운 혁신, 그리고 협력의 시작
2017. 11. 24.
2017. 10. 16.
중앙아프리카공화국, 기아 수준 ‘극히 위험’- 국제식량정책연구소, 2017년 세계기아지수 발표
- 기아 ‘위험’ 국가는 총 8개국, 대부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위치
- 북한, 전년 대비 기아 수준 34% 악화
(미국 워싱턴DC) 12일, 국제식량정책연구소는 전세계 6개 수도에서 ‘2017년 세계기아지수’ 보고서를 발표했다. 세계기아지수는 기아 지표를 통해 가장 관심이 필요한 국가를 알리고 기아종식을 위한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국제식량정책연구소, 컨선월드와이드, 세계기아원조가 2006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세계기아지수는 전체 인구의 영양결핍 비율로 3분의 1을 구성하고, 5세 미만 아동의 사망률 및 영양상태로 나머지를 구성하고 있어서 영양의 질을 살펴볼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다. 지수 0점은 기아가 없는 이상적인 상태이고 100점은 최악의 기아 상황을 뜻한다. 지수가 35점 이상이면 ‘위험(alarming)’ 단계에 해당된다.
2017년 세계기아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기아 수준은 21.8점으로 2000년 29.9점보다 27퍼센트 감소했다. 2000년에 대비해 14개국은 세계기아지수가 50퍼센트 이상 감소했다. 72개국은 25-49.9퍼센트 감소했고, 27개국은 25퍼센트 미만으로 떨어졌다.
조사대상 총 119개 국가 중에서 최하위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50.9)으로 ‘극히 위험’한 기아 수준에 해당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외에 ‘위험’ 단계에 해당하는 국가는 차드(43.5), 시에라리온(38.5), 마다가스카르(38.3), 잠비아(38.2), 예멘(36.1), 수단(35.5), 라이베리아(35.3) 등 총 8개 국가이다. 이들 대다수는 수십 년간 정치 위기나 무력 충돌을 겪었으며 예멘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남아시아(30.9)의 기아 수준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29.4)이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동티모르(34.3), 아프가니스탄(33.3), 파키스탄(32.6), 인도(31.4)가 100위권 아래에 해당되며 위험 단계 직전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은 전년 대비 21점에서 28.2점으로 34퍼센트 악화되었다. 북한 아동의 영양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전체 인구 중에서 영양결핍 인구의 비율이 10년간 별다른 진전을 보이고 있지 않다. 북한의 기아 순위는 93위다.
새롭게 주목할 점은 국가내에서 발육부진 아동 비율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가장 불평등이 극심한 나이지리아는 최대와 최저 비율의 격차가 50퍼센트를 넘어섰다. 동북부에 거주하는 450만 명은 보코 하람의 폭력으로 기근을 겪거나 기근의 위험에 처한 반면, 그 외 지역은 비교적 식량 확보가 용이했다. 다음으로 46.5퍼센트 격차를 기록한 아프가니스탄의 경우에는 도로 접근성과 여성 문자해독률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발육부진은 나이 대비 신장이 작은 것으로 만성영양실조의 지표이다.
한국에서는 오는 11월 14일 컨선월드와이드(한국대표 이준모) 주최로 세계기아리포트를 개최해 세계기아지수 현황을 발표하고 관련한 한국 주체들의 혁신적인 접근들을 심도있게 다룰 예정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세계기아지수 사이트(http://www.globalhungerindex.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17년째 기아지수가 개선되지 않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아동들은 영양실조가 일상으로 자리 잡았다. Chris de Bode, 컨선월드와이드 사진 제공.
관련 기사
∙ 北 기아지수, 119개국 중 27위···'심각단계' (뉴시스, 2017.10.12)
∙ “북한 기아, 전 세계 27번째로 심각…25년 전 비해 개선 안 돼” (VOA, 2017.10.13)
∙ 美연구소 "北 기아상황, 전 세계에서 27번째로 심각" (연합뉴스, 2017.10.13)
∙“북, 아시아서 인구대비 영양부족 최악” (RFA, 2017.10.13)
∙ Why World Hunger Isn't Going Away As Fast As We'd Hoped (NPR, 2017.10.17)
RELATED CONTENTS
2019 세계기아리포트: 기후변화와 기아
2019. 11. 22.
2018 세계기아리포트, 분쟁-이주-기아 연결고리 조명
2018. 11. 22.
2017 세계기아리포트: 기아 종식을 위한 새로운 혁신, 그리고 협력의 시작
2017.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