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2. 29.
지난 11월 영국 가디언(The Guardian)에서 오랜 가뭄과 엘니뇨 등 기후변화로 고통 받고 있는 잠비아, 모잠비크, 짐바브웨, 말라위 등 남아프리카 취재를 다녀왔습니다. 이 국가들은 2016년 컨선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기아지수에서도 최빈국에 포함되는 지역 (잠비아 3위, 모잠비크 15위, 짐바브웨 20위, 말라위 30위)들로서 짐바브웨를 제외하고는 모두 컨선이 활동하고 있는 지역들입니다. 그 중 말라위와 잠비아에서 일하는 컨선 동료들의 목소리를 통해 사태의 심각성을 소개합니다. 아래는 영국의 신문사 The Guardian에 보도된 기사를 편집한 내용입니다.
말라위, 모잠비크, 잠비아, 짐바브웨를 비롯한 많은 남아프리카 국가들은 오랜 가뭄, 강력한 엘니뇨, 기후변화 현상으로 심각한 식량 문제를 겪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연이은 옥수수 흉작이 이 끔찍한 식량난으로 이어진 것이다.
UN식량농업기구(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남아프리카 지부의 데이비드 피리(David Phiri) 대표는 남아프리카의 상황에 대해서 심각하게 논의했다. “이곳의 상황은 끔찍한 재앙입니다. 남아프리카의 수백, 수천만의 사람들이 기근의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우리는 주민들이 아사에 이르는 경우까지 자주 목격했습니다. 이곳 사람들은 생활을 영위할 충분한 음식도 돈도 없습니다. 현재 4천만의 남아프리카 주민들이 굶주림에 처해있습니다. 남아프리카 식량 부족 상황에 대한 국제적인 대처가 시급합니다.”
말라위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e, WFP) 대표 코코 우시야마(Coco Ushiyama)도 현재 남아프리카의 식량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였다. “구호 식량이 필요한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어요. 11월에는 5백만의 말라위 주민들을 위한 구호 식량이 필요했습니다. 말라위 국민의 3명 중 1명이 굶주리고 있는 것이죠.”
현재 4천만의 남아프리카 주민들이 굶주림에 처해있습니다. 남아프리카 식량 부족 상황에 대한 국제적인 대처가 시급합니다.
말라위의 여성이 세계식량계획의 구호 식량을 받아가고 있다. Photo: Mike Hutchings/Reuters
말라위의 보건 분야 정부 관계자 펠릭스 펜술로 피리(Felix Pensulo-Phiri)는 식량 문제가 사회에 가져오는 파급 효과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사람들은 매우 절박한 굶주림의 상황에 처해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여성에 대한 폭력이 만연합니다. 남성들이 여성에게 음식을 준다는 이유로 잠자리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더불어 학생들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음식이 없으면 가족들은 아이들을 학교로 보내지 않아 교육이 단절되며 만약 학교에 가더라도 굶주린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떨어집니다. 어렸을 때의 영양 부족 상황은 후에 아이들의 발달 장애 문제로까지 연결됩니다.
컨선월드와이드의 엘바스 문탈리(Elvas Munthali)는 모잠비크 국경 근처 은잘레(Njale) 마을에서 근무하고 있다. Photo: The Guardian
컨선월드와이드 말라위에서 국제 구호원으로 일하고 있는 엘바스 문탈리(Elvas Munthali)는 말라위의 안타까운 현장을 전했다.
“저는 말라위의 최남단의 마을에서 구호 작업을 맡고 있어요. 이곳의 상황은 충격적이에요. 이번 주에 제가 방문했던 한 가정의 경우에는 아버지는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와 네 아이만 남아있었어요. 그들은 아무것도 먹지 못했죠. 게다가 어머니는 HIV를 앓고 있어 몸에 힘이 하나도 없는 상태예요. 하지만 아이들을 먹이기 위해서 그녀는 계속해서 일을 해야 하죠. 우리는 열심히 노력하지만 이곳의 모든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에는 현실적으로 제약이 커요. 그래도 저는 제 나라에서 국제 구호원으로 일하고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껴요. 저는 도움 받는 사람들과 함께 서로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같이 밥을 나누어 먹어요. 비록 남들이 보았을 때는 작은 일이겠지만 그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어요. 이곳에서는 고기나 기름을 찾기가 어려워 영양가 있는 식단을 먹지 못해요. 균형 있는 식단은 너무 많은 돈이 들어요.“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농법이 바로 이번 남아프리카의 기근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1960년대부터 남아프리카는 화학 비료를 사용하는 농업을 계속해왔고 국가 정책으로 인해 옥수수만이 유일한 작물이 되었다. 하지만 이런 농법은 가뭄에 취약하며 특히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화된 현 상황에 맞지 않는다. 더불어 농업으로 자급자족하는 주민들의 영양 상태에도 좋지 않다. 같은 남아프리카 지방이라도 다양한 작물을 재배한 지역이 이번 가뭄을 가장 이겨내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남아프리카의 이번 사태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농법의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농법이 바로 이번 남아프리카의 기근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2012년 말라위에서 시행된 컨선월드와이드의 보존농법 프로젝트로 농사 지은 옥수수밭. Photo: Concern Worldwide
컨선월드와이드 잠비아 디렉터 대니 하베이(Danny Harvey)도 남아프리카의 식량재난 문제에 대해서 깊은 고민을 표하였다. “기부금이 들어오기는 하지만 그 대처가 충분히 빠르지 않습니다. 그럴 때엔 보급량을 반으로 줄일 수 밖에 없어요. 남아프리카의 상황은 1월에 최악이 될 것입니다. 외진 곳에 식량을 전달하는 것도 문제가 됩니다. 또 몇몇 마을에서는 물이 말라버려 식량 문제와 물 부족 문제까지 겪는 최악의 상황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현재 말라위에는 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지만 세계인은 또 다시 남아프리카에게 등을 돌리고 있다.
관련 기사
∙"Southern Africa cries for help as El Niño and climate change savage maize harvest" The Guardian (2016.11.27)
∙ "'I was so hungry I ate water lilies': southern Africa's food crisis in a dozen dishes" The Guardian (2016.12.17)
RELATED CONTENTS
한국국제협력단(KOICA) 협력사업
2019. 04. 11.
2019 인도적지원 포럼: 분쟁으로 인한 커뮤니티의 변화
2019. 09. 03.
설립 50주년 맞아, 전세계 전문가 300명과 분쟁과 기아의 악순환 조명
2020. 03. 10.
2016. 12. 29.
지난 11월 영국 가디언(The Guardian)에서 오랜 가뭄과 엘니뇨 등 기후변화로 고통 받고 있는 잠비아, 모잠비크, 짐바브웨, 말라위 등 남아프리카 취재를 다녀왔습니다. 이 국가들은 2016년 컨선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기아지수에서도 최빈국에 포함되는 지역 (잠비아 3위, 모잠비크 15위, 짐바브웨 20위, 말라위 30위)들로서 짐바브웨를 제외하고는 모두 컨선이 활동하고 있는 지역들입니다. 그 중 말라위와 잠비아에서 일하는 컨선 동료들의 목소리를 통해 사태의 심각성을 소개합니다. 아래는 영국의 신문사 The Guardian에 보도된 기사를 편집한 내용입니다.
말라위, 모잠비크, 잠비아, 짐바브웨를 비롯한 많은 남아프리카 국가들은 오랜 가뭄, 강력한 엘니뇨, 기후변화 현상으로 심각한 식량 문제를 겪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연이은 옥수수 흉작이 이 끔찍한 식량난으로 이어진 것이다.
UN식량농업기구(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남아프리카 지부의 데이비드 피리(David Phiri) 대표는 남아프리카의 상황에 대해서 심각하게 논의했다. “이곳의 상황은 끔찍한 재앙입니다. 남아프리카의 수백, 수천만의 사람들이 기근의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우리는 주민들이 아사에 이르는 경우까지 자주 목격했습니다. 이곳 사람들은 생활을 영위할 충분한 음식도 돈도 없습니다. 현재 4천만의 남아프리카 주민들이 굶주림에 처해있습니다. 남아프리카 식량 부족 상황에 대한 국제적인 대처가 시급합니다.”
말라위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e, WFP) 대표 코코 우시야마(Coco Ushiyama)도 현재 남아프리카의 식량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였다. “구호 식량이 필요한 사람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어요. 11월에는 5백만의 말라위 주민들을 위한 구호 식량이 필요했습니다. 말라위 국민의 3명 중 1명이 굶주리고 있는 것이죠.”
현재 4천만의 남아프리카 주민들이 굶주림에 처해있습니다. 남아프리카 식량 부족 상황에 대한 국제적인 대처가 시급합니다.
말라위의 여성이 세계식량계획의 구호 식량을 받아가고 있다. Photo: Mike Hutchings/Reuters
말라위의 보건 분야 정부 관계자 펠릭스 펜술로 피리(Felix Pensulo-Phiri)는 식량 문제가 사회에 가져오는 파급 효과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사람들은 매우 절박한 굶주림의 상황에 처해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여성에 대한 폭력이 만연합니다. 남성들이 여성에게 음식을 준다는 이유로 잠자리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더불어 학생들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음식이 없으면 가족들은 아이들을 학교로 보내지 않아 교육이 단절되며 만약 학교에 가더라도 굶주린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떨어집니다. 어렸을 때의 영양 부족 상황은 후에 아이들의 발달 장애 문제로까지 연결됩니다.
컨선월드와이드의 엘바스 문탈리(Elvas Munthali)는 모잠비크 국경 근처 은잘레(Njale) 마을에서 근무하고 있다. Photo: The Guardian
컨선월드와이드 말라위에서 국제 구호원으로 일하고 있는 엘바스 문탈리(Elvas Munthali)는 말라위의 안타까운 현장을 전했다.
“저는 말라위의 최남단의 마을에서 구호 작업을 맡고 있어요. 이곳의 상황은 충격적이에요. 이번 주에 제가 방문했던 한 가정의 경우에는 아버지는 세상을 떠났고 어머니와 네 아이만 남아있었어요. 그들은 아무것도 먹지 못했죠. 게다가 어머니는 HIV를 앓고 있어 몸에 힘이 하나도 없는 상태예요. 하지만 아이들을 먹이기 위해서 그녀는 계속해서 일을 해야 하죠. 우리는 열심히 노력하지만 이곳의 모든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에는 현실적으로 제약이 커요. 그래도 저는 제 나라에서 국제 구호원으로 일하고 있다는 것에 자부심을 느껴요. 저는 도움 받는 사람들과 함께 서로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같이 밥을 나누어 먹어요. 비록 남들이 보았을 때는 작은 일이겠지만 그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어요. 이곳에서는 고기나 기름을 찾기가 어려워 영양가 있는 식단을 먹지 못해요. 균형 있는 식단은 너무 많은 돈이 들어요.“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농법이 바로 이번 남아프리카의 기근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1960년대부터 남아프리카는 화학 비료를 사용하는 농업을 계속해왔고 국가 정책으로 인해 옥수수만이 유일한 작물이 되었다. 하지만 이런 농법은 가뭄에 취약하며 특히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화된 현 상황에 맞지 않는다. 더불어 농업으로 자급자족하는 주민들의 영양 상태에도 좋지 않다. 같은 남아프리카 지방이라도 다양한 작물을 재배한 지역이 이번 가뭄을 가장 이겨내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남아프리카의 이번 사태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농법의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농법이 바로 이번 남아프리카의 기근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2012년 말라위에서 시행된 컨선월드와이드의 보존농법 프로젝트로 농사 지은 옥수수밭. Photo: Concern Worldwide
컨선월드와이드 잠비아 디렉터 대니 하베이(Danny Harvey)도 남아프리카의 식량재난 문제에 대해서 깊은 고민을 표하였다. “기부금이 들어오기는 하지만 그 대처가 충분히 빠르지 않습니다. 그럴 때엔 보급량을 반으로 줄일 수 밖에 없어요. 남아프리카의 상황은 1월에 최악이 될 것입니다. 외진 곳에 식량을 전달하는 것도 문제가 됩니다. 또 몇몇 마을에서는 물이 말라버려 식량 문제와 물 부족 문제까지 겪는 최악의 상황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현재 말라위에는 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지만 세계인은 또 다시 남아프리카에게 등을 돌리고 있다.
관련 기사
∙"Southern Africa cries for help as El Niño and climate change savage maize harvest" The Guardian (2016.11.27)
∙ "'I was so hungry I ate water lilies': southern Africa's food crisis in a dozen dishes" The Guardian (2016.12.17)
RELATED CONTENTS
한국국제협력단(KOICA) 협력사업
2019. 04. 11.
2019 인도적지원 포럼: 분쟁으로 인한 커뮤니티의 변화
2019. 09. 03.
설립 50주년 맞아, 전세계 전문가 300명과 분쟁과 기아의 악순환 조명
2020. 03. 10.